728x90
토양의 pH(산도) 조사는 다양한 기관에서 수행하고 있으며, 조사 목적에 따라 담당 기관이 다를 수 있습니다. 아래에 주요 기관과 그 역할을 정리해 드리겠습니다:
🌾 농업용 토양 pH 조사
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
- 전국 농경지의 토양 특성을 조사하여 농업 생산성 향상과 지속 가능한 농업을 지원합니다.
- 토양 pH를 포함한 다양한 토양 정보를 제공합니다.
🌲 산림 지역 토양 pH 조사
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
- 산림토양의 산성화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고, 산림 생태계 건강성을 평가합니다.
- 전국 65개소의 산림토양 산성화 고정조사지에서 pH를 측정하고 있습니다.
🧪 토양 오염 및 환경 평가
한국환경공단
- 토양오염 실태조사 및 정밀조사를 통해 오염물질의 종류와 범위를 평가합니다.
- 토양 pH 측정을 포함하여 토양의 오염 정도를 분석합니다.
한국환경수도연구원
- 토양 정밀조사를 통해 오염물질의 종류, 오염의 정도 및 범위를 정확히 평가합니다.
- 토양 pH를 포함한 다양한 항목을 분석하여 적정 처리방안을 도출합니다.
🌳 산림 및 임업 관련 토양 분석
한국임업진흥원
- 산림토양, 임산물 재배지 및 수목 식재지의 토양·식물체에 대한 물리성 및 화학성 분석을 수행합니다.
- 토양 pH 분석을 포함하여 다양한 항목을 분석합니다.
🧪 개인 또는 소규모 분석
개인이나 소규모 단위에서 토양 pH를 측정하고자 할 경우, 휴대용 pH 측정기를 사용하여 직접 측정하거나, 민간 분석기관에 의뢰하여 분석할 수 있습니다.
요약
- 농업용 토양: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
- 산림 지역 토양: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
- 토양 오염 및 환경 평가: 한국환경공단, 한국환경수도연구원
- 산림 및 임업 관련 토양 분석: 한국임업진흥원
각 기관의 웹사이트를 통해 보다 자세한 정보를 확인하시고, 필요에 따라 해당 기관에 문의하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.